농업인 4

농업경영체 등록이란? 정의부터 발급조건,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안녕하세요, 농업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농업경영체 등록’**에 대해 오늘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농업 관련 정부 지원사업, 보조금, 융자 등을 받기 위해 꼭 필요한 조건이기도 한데요.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정의부터 발급 조건, 신청 방법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농업경영체란?농업경영체란 쉽게 말해 농업을 통해 일정 규모 이상의 생산 활동을 하고 있는 개인이나 법인을 말합니다.국가에서는 농업 관련 정책과 지원을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이러한 농업인들을 등록하여 '농업경영체'로 관리하고 있습니다.등록을 하면 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혜택과 정책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농업경영체 등록의 필요성농업경영체 등록은 단순한 행정 절..

진정한 농부가 되기 위한 첫번째 관문! 농업경영체 등록

농업인이 되려면 농업경영체 등록이 필수 입니다. 농업경영체 등록 요건 (등록대상) 실제 농사를 짓고 작물을 재배(종자파종, 삽목 등)하는 농업인 * 1천 제곱미터 이상 농지대장에 등재된 농지에서 농작물 경작 (등록시기) 농작물 재배 및 가축․곤충 사육을 확인할 수 있는 시점 * 종자 파종·삽목·가축입식·사료급여 등 재배 및 사육을 확인할 수 있는 시점 (구비서류) 농지대장(임대차현황), 영농사실확인서, 농자재구매영수증 등 * 신청 농지가 경영체별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독립 경영(둑, 방풍림, 그물망 등) (신청방법) 신청자(경영주)가 방문·우편·팩스 및 인터넷으로 신청 농업경영체 등록 유효기간(3년) 농업경영체 등록 유효기간은 3년, 유효기간 내 미갱신 시 직권말소 처리 - 유효기간 만료 60일전 사전안내..

모르면 무조건 손해! 2024년 기본형공익직불금 신청하세요

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을 오는 2월1일부터 4월30일까지 접수 받는다 공익직불제는 농업‧농촌의 공익기능 증진과 농업인의 소득 안정을 위해 일정 자격을 갖춘 농업인에게 지급하는 제도이다. 비대면 간편 기간(2월1일~2월29일)에 신청하지 못했거나 비대면 간편 신청 대상자가 아닌 경우는 3월 4일부터 4월 30일까지 농지소재지 관할 읍 면 동 사무소로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농업인은 직불금 신청 전 농지대장 및 농업경영체를 현행화 시켜야 하며 특히 직불금 신청유형을 면적에서 소농으로 변경을 희망하는 농업인은 대면신청 기간에 해당 읍 면 동 사무소를 방문하여 변경 신청하여야 한다 2024년도에는 소농직불금 단가가 10만원 인상되었다. * 소규모농가직접지불금(소농직불금)이란? - 경작면적이 0.5ha 이하인 소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