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모니아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깊이거름주기 장치 개발
토양 25~23cm 깊이에 비료 투입하면 암모니아 기체 발생 감소
토양 속 감소 된 암모니아는 질소성분으로 사용 되어 작물 양분으로 흡수 선순환
농촌진흥청이 농경지의 미세먼지 배출량을 줄일 방법으로 깊이거름주기 기술을 개발, 시범 보급을 할 예정이다.
농진청에 따르면 현재 농업 현장에서는 토양 표면에 비료를 뿌려 흙갈이를 한 후 토양과 섞는 방식으로 비료를 주고 있다. 이 방식대로 하면, 비료의 질소 성분 약 14%가 암모니아로 배출될뿐더러 작물 흡수율이 낮아 이를 해결할 기술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암모니아는 미세먼지 생성을 촉매하는 9대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로 공기 중의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과 결합해 초미세먼지(PM2.5)를 생성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농진청은 최근 농경지에서의 암모니아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깊이거름주기 장치(심층시비기)를 개발한 바 있다. 이 장치를 이용해 토양 25~30cm 깊이에 표준량의 비료를 투입하면 암모니아 기체가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농업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농업용 트랙터에 붙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또, 쟁기 작업과 동시에 비료를 토양 속에 투입할 수 있어 비료 뿌리기→흙갈이→토양 섞기 같은 기존 방식으로 비료를 줄 때보다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이와함께, 깊이거름주기를 적용했을 때 비료의 질소 성분이 암모니아로 배출되지 않고 작물로 흡수돼 마늘은 57%, 벼는 9% 생산량이 늘었다.
이 기술이 보급되면 연간 1만 8,799톤의 농경지 암모니아 발생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농업관련 > 농업인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 소비량 지속 감소 (3) | 2024.01.26 |
---|---|
진정한 농부가 되기 위한 첫번째 관문! 농업경영체 등록 (2) | 2024.01.26 |
딸기조심하세요~ (1) | 2024.01.22 |
딸기 2500만원어치가 도난 (0) | 2024.01.17 |
경북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첫 발생!!! (0) | 202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