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열차 전복, 400명 이상 사망”…원인 알고보니

지난해 말 북한에서 가파른 고갯길을 오르던 열차가 전기부족으로 고개를 넘지 못하고 전복돼 수백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미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6일 보도했다.
RFA는 함경남도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해 12월 26일 평양에서 출발해 함경남도 검덕(금골)으로 향하던 여객열차가 전기 부족으로 전복돼 수백명이 사망했다고 전했다.
사고가 난 금골행 열차는 함경남도 단천역을 지나 동암역에서부터 리파역 사이 해발 700m의 높은 고개를 오르던 중이었다. 그러나 노후화된 철로와 전력난으로 열차가 뒤로 밀리면서 전복됐다고 한다. 당시 단천역 주변에는 폭설이 내린 상황이었다.
소식통은 “급경사가 시작되는 동암역부터 열차 속도가 느려지더니 리파역으로 올라가는 철로에 이르러 기관차 견인기 전압이 약한 탓에 헛바퀴가 돌다가 열차 전체가 뒤로 밀리기 시작했다”며 “기관사가 제동했으나 밀려 내려가는 열차가 가속도가 붙으면서 신평역 인근 산굽이를 돌 때 가운데 열차가 탈선하면서 열차 뒷부분 객차들이 산 밑으로 떨어졌고 계속해 동암역으로 가던 도중 연이어 열차가 탈선해 골짜기로 굴러떨어졌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기관차와 기관차 바로 뒤에 연결된 상급열차 2개는 탈선되지 않은 채 단천역까지 밀려 내려와 멈추면서 상급열차에 탄 간부들은 살았다. 그러나 나머지 7개의 객차에 탔던 주민들은 대부분 사망했다.
북한의 여객 열차는 보통 60개 좌석이 있는 객차 9~11량을 연결해 운행하며, 앞쪽 1-2량은 간부 전용 상급열차라고 한다. 이어 수화물 차량 1량, 일반승객용 7량이 연결된다.
소식통은 이번 사고로 뒤에 연결된 객차 7칸에 탔던 인원은 400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금골행 열차는 단천 검덕광산으로 집단 파견을 나가는 20대 청년들과 생계를 위해 장사에 나서는 주부들이 주로 탑승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사고로 함경남도 사회안전부와 교도대 인원들 중심으로 전복사고 수습과 시신 처리 전담반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소식통은 “열차가 전복된 단천 일대에서 구출된 중상자들이 단천시 병원에 옮겨졌으나 병원에서 대부분 사망했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1998년 11월에도 함남 단천일대 급경사 철로에서도 이번과 유사한 사건이 있었다고 전했다.
'독서일상 > 글쓰기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오늘의 운세, 궁금하지 않으세요? 무료운세로 확인하세요! (1) | 2025.03.23 |
---|---|
Introducing the WORLD3 AI Agent Portal: A New Era of Autonomous Web3 Agents(월드3) (3) | 2025.03.22 |
트위드 자켓의 모든 것 (0) | 2025.03.19 |
질소가스 사형법은 최선인가?? (1) | 2024.01.25 |
10년만에 단통법 폐지 추진 ! (1) | 2024.01.23 |